반려견 폭염관리법, 반려견들이 건강하게 여름을 나기 위한 관리법.
연일 지속되는 폭염경보. 한낮 기온이 35도까지 올라가는 여름 폭염시 강아지들과 산책 해도 될까?
반려견 폭염 어떻게 잘 보낼 수 있는지 설채현 선생님의 영상을 참고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종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힘들어하는 아이들은 참깨와 같이 시바견, 허스키 같은 '이중모'를 가진 강아지들 입니다.
털이 이중으로 나는데, 겉털 말고 속 털 같은 경우에는 체온을 따뜻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해요. 근데 여름이 되면 속 털이 빠진다고 하네요. 그렇다고 하더라도 사람보다는 더울 수 밖에 없다고 하네요.
그리고 개들은 사람처럼 땀이 나지 않기 때문에 열을 잘 발산하지 못한다고 하네요. 사람은 땀을 통해서 피부의 열을 증발시키지만, 그러나 개들은 땀이 발바닥에서만 나기 때문에 그렇다고 합니다. 그러나 개들이 땀이 나지 않기 때문에 키울수 있다고 하는데요. 개와 고양이가 땀을 흘리게 되면 체취로 인해 매일 목욕을 시켜야 되는 상황이 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대신에 강아지들은 땀이 아닌 호흡으로 열을 방출 한다고 합니다. 헥-헥헥- 하는 호흡을 통해 안에 있는 열을 밖으로 내뱉게 되는 것이다 보니 사람보다 열을 낮추는게 더 취약 하다고 합니다.
반려견이 사람보다 촉염에 더 취약한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
한낮에 손으로 보도블럭이나 아스팔트에 손을 대보면 알수 있는데요.
사람은 이족보행과 직립보행을 하기때문에 지면에서부터 멀어지지만, 강아지들은 사족보행을 하기 때문에 자세가 바닥에서 가깝고, 특히나 배 부분이 지열에 그대로 노출이 되는 점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런점 때문에 특히 코가 짧은 단두종 강아지들은 더욱 폭염에 취약할수 밖에 없다고 하는데요. 앞서 강아지들은 호흡으로 열을 발산해야 하는데, 호흡 나가는 길이 길면 몸 속의 많은 열을 가지고 나갈수 있지만 코가 짧은 강아지들은 열을 많이 못 가지고 나간다고 합니다. 단두종은 코 안에 길이 좁아서 숨도 잘 쉬지 못한다고 합니다. 특히 프렌치불독이면서 검정색 털을 가진 개들은 호흡뿐 아니라 검정색 털이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여름에 더더욱 힘들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폭염에 취약할수 있는 개들은 퍼피, 노견, 심장병이 있는 강아지들이라고 합니다.
'열사병'의 증상들은, 비(非)특이적이라서 다른질병에서도 볼수 있는 증상들이 나오기 때문에 열사병만의 특이 증상이 많지는 않다고 합니다. 그래도 '고체온증'을 단계로 나눠서 볼수 있다고 하는데요.
1단계) 열 압박, 열 스트레스
이 단계는 질병과 크게 관련은 없지만, 많이 목말라하고 헥-헥- 거린다고 합니다.그런데 의식은 멀쩡한 상태라고 하네요.
평소 운동장에서 열심히 뛰어 놀았을때 자연스럽게 헥헥 거리는 상태가 이 1단계의 열 스트레스 상황이라고 보면 된다고 합니다.
2단계) 일사병
일사병과 열사병은 다르다고 하는데요. 1단계 - 열 스트레스가 지속 됐을 때 조금 더 심하게 헥-헥 거리고, 기력이 떨어지고 의식이 점점 희미해 진다고 합니다.
3단계) 열사병
가장 조심해야 되는 단계인데요. 1단계 열 스트레스가 심해져서 2단계 일사병이 심해졌을때, 생명이 위험할 정도로 가는 것을 열사병이라고 하는데요.
열사병에서 주로 보이는 증상은 침이 끈적끈적 해질 수 있다고 하는데요. 탈수가 일어나면서 침이 끈적끈적 해지고, 어지러워 하고 방향 감각을 상실하거나 둔해진다고 합니다. 심할경우 의식이 사라지거나 심박수와 호흡수 증가, 구토나 설사를 하게 되며, 근육이 떨릴수 있고 발작도 일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보호자가 겉으로 확인할 수 있는건, 침이 끈적한지, 잇몸 색이 분홍빛이 아닌 창백하거나 보라색, 청색으로 변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는 점 입니다.
강아지의 열사병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는 놀때 바로 나타나는게 아닌 집에 돌아가서 나타날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개들이 놀때는 재밌어서 얼마나 많은 양의 빛을 흡수하고 있고 많은 열이 몸에 쌓여있는지 모를수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여름철 운동장에서 놀경우라면 유심히 살펴봐 줘야 되며, 중간 중간 노는것을 멈추고 물을 준다거나 열을 식혀주는 것을 해줘야 한다고 합니다.
실외 온도별 강아지들에게 위험도가 어느 정도 되는지 정리해 놓은 표가 있다고 합니다.
위험 1단계) 실외 온도 12-15도
열사병 위험 없음.
위험 4단계) 실외 온도 16-19도
일반적으로 하루 종일 산책하기 좋은 날씨.
하지만 대형견, 비만견, 단두종은 오랫동안 하는건 조심!
위험 6단계) 실외 온도 20-23도
산책 시 너무 심한 운동을 하거나 비만, 호흡이 힘든 종은 조심해야 됩니다.
위험 8단계) 실외 온도 24 -27도
이때부터는 대부분의 반려견들이 조심해야 되고, 특히 대형견, 비만견, 단두종 그리고 퍼피는 주의
위험 9단계) 실외 온도 28 - 31도
모든 강아지들이 위험한 단계. 대형견, 퍼피, 단두종, 비만견은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
위험 10단계) 실외 온도 32도
건강 상태, 종과 크기 관계없이 열사병 위험 증가한다고 합니다. 여름 한낮기온이 대체적으로 이 기온이므로 사실상 한낮에 강아지와 산책한다는 것은 아주 위험하다고 볼 수 있겠죠. 그렇기 때문에 산책을 가능한 새벽시간이나 해가 지고 난 뒤에 하는것이 좋겠죠.
만약 '열사병'이 의심이 된다면, 우선 빨리 열을 식혀주는것이 좋습니다. 야외라면 그늘에 가서 충분한 물을 섭취할 수 있게 해주고, 수건에 물 적셔서 덮어주는 것은 오히려 몸에서 발산 되는 열을 막는 것일수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또한 얼음물이나 차가운 물을 확 뿌리게 되면 사람도 차가운 몸에 몸이 수축되는데, 이때 혈관도 같이 수축하기 때문에 열을 더 많이 발산하지 못하게 하고 다른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얼음물을 강아지 물에 붓는 것은 위험합니다.
여름에 강아지 미용시 주의할 점은, 강아지가 더울 것 같다고해서 털을 너무 바짝 깎는 빡빡이 미용을 하면 안된다고 합니다. 털 중에 '겉 털'은 직사광선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털을 바짝 밀게 되면 피부에 직사광선이 몸에 닿게 되면서 강아지 몸에 반점이 생기고,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멜라닌 색소가 피부 세포 밑에 있다가 위로 올라오면서 반점이 생기게 된다고 합니다. 어느 정도의 털을 남겨두어 햇빛을 차단할수 있게 해주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짧은 털의 단모종들이 반점이 생길까 걱정된다면 반려견 '쿨조끼'를 입히는 것도 자외선 차단의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여름철 운동 중에 산책줄 하고 산책하는 것보다 산책줄을 풀고 놀거나 수영을 하는 게 운동량이 많다고 합니다. 강아지들과 여름철 반려견 수영장에서 수영 교육을 해보는 것도 여름철 운동방법중 하나가 될 수 있겠네요.
(* 개인적으로 개가 물을 싫어하는데 억지로 수영을 시키거나 물에 빠뜨리는건 오히려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수영이 처음인 강아지들은 반드시 수영훈련을 받고 시작하거나 얕은 물가에서 천천히 물과 친숙해지는 것부터 하시기를 바라요.)
"여름철 산책중 물을 가지고 다니면서 충분히 음수량을 채워주고, 더운 시간대 산책시 강아지가 힘들어하고 싫어하는데 억지로 산책시간을 채우는 것도 좋지 않다고 하니까요. 강아지의 상태를 좀 더 세심하게 체크하며 사람과 강아지 모두 건강하게 여름 산책 할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
'반려견 육아 및 훈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개훈남tv' 권기진 훈련사가 소개하는 시바견에 대한 이야기. (4) | 2024.05.10 |
---|---|
[강형욱의 보듬TV] 견종백과 시바이누 편.(feat.만지지 마 시바) (2) | 2023.01.25 |